전월세 보증금 대출, 어떤 걸 받아야 하나요?
안녕하세요! 전월세 보증금 대출에 대해 궁금하신가요? 끝까지 보시면 중요한 정보를 모아놨어요👇확인해 주세요!!
전월세 보증금 대출을 선택할 때는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해요. 이자를 적게 낼 수 있는 상품을 찾고, 최대한 많은 돈을 빌린 뒤 나머지 돈은 신용대출이나 담보대출을 활용하는 것이 좋아요.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해 드릴게요.
연 소득 3500만 원 이하라면 받을 수 있는 전월세 보증금 대출
혼자 벌어 연 소득 3500만 원 이하이거나 결혼해 둘이 벌어 연 소득 5000만 원 이하이면서, 중소·중견기업 직원 또는 청년창업자일 경우에는 '중소기업 취업 청년 전월세 보증금 대출'을 받을 수 있어요. 이 상품은 전세자금 대출 상품 가운데 금리가 가장 낮은 1.5%로, 최대 1억 원까지 빌릴 수 있어요. 대출 기간은 처음에 2년으로 시작한 다음, 4번 연장해 최장 10년까지 늘릴 수 있어요.
이런 조건도 갖춰야 해요
- 부동산 임대차 계약을 맺은 뒤 월세 보증금 또는 전세자금의 5% 이상을 지불했다는 서류가 있어야 해요.
- 집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무주택자에, 가구를 대표하는 세대주여야 해요.
- 자세한 내용은 주택도시기금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.
연 소득 5000만 원 이하라면 받을 수 있는 전월세 보증금 대출
혼자 벌거나 부부 합산으로 연 소득 5000만 원 이하이거나 연 소득 6천만 원 이하인 다자녀 가구, 연 소득 7500만 원 이하인 신혼부부 등인 경우에는 '청년전용 버팀목 전세자금'을 받을 수 있어요. 빌릴 수 있는 한도는 최대 2억 원으로, 전세금액의 80% 가운데 더 낮은 금액만 빌릴 수 있어요. 대출 기간은 2년부터 시작해 4번 연장할 수 있어요. 금리는 연 1.8%~2.7%이며, 소득별로 다르게 적용돼요.
이런 조건도 갖춰야 해요
- 부동산 임대차 계약을 맺은 뒤 월세 보증금 또는 전세자금의 5% 이상을 지불했다는 서류가 있어야 해요.
- 집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무주택자에, 가구를 대표하는 세대주여야 해요.
- 2023년 기준 보유 중인 자산(자동차, 부채 등)이 3억 6100만 원 이하여야 해요.
- 자세한 내용은 주택도시기금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.
청년 요건(만 19~34세)에 해당하지 않는다면 받을 수 있는 전월세 대출
혼자 벌거나 부부 합산으로 연 소득 5000만 원 이하이거나 연 소득 6천만 원 이하인 다자녀가구, 연 소득 7500만 원 이하인 신혼부부 등인 경우에는 버팀목 전세자금대출을 받을 수 있어요. 한도는 집이 수도권(서울, 경기, 인천)에 있을 경우 1억 2000만 원까지, 수도권에 있지 않을 경우 8000만 원까지 빌릴 수 있어요. 자녀가 2명 이상이면서 수도권이라면 3억원까지, 자녀가 2명 이상이면서 수도권이 아니라면 2억원까지 가능해요. 대출 기간은 2년부터 시작해 4번 연장할 수 있어요. 금리는 연 2.1%~2.9%이며, 소득별로, 보증금 별로 다르게 적용돼요.
이런 조건도 갖춰야 해요
- 부동산 임대차 계약을 맺은 뒤 월세 보증금 또는 전세자금의 5% 이상을 지불했다는 서류가 있어야 해요.
- 집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무주택자에, 가구를 대표하는 세대주여야 해요.
- 2023년 기준 보유 중인 자산(자동차, 부채 등)이 3억 6100만 원 이하여야 해요.
- 자세한 내용은 주택도시기금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.
요건에 해당하지 않거나 더 많은 돈을 빌려야 한다면?
이 경우 시중은행의 전세자금 대출 상품을 알아봐야 해요. 가장 낮은 금리로 월세 보증금 또는 전세자금을 빌리기 위해 은행마다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냐, 없냐를 따져 보는 게 좋아요.
요약
전월세 보증금 대출을 선택할 때는 자신의 소득과 상황에 맞는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해요. 주택도시기금의 상품을 먼저 살펴보고, 요건에 맞지 않으면 시중은행의 상품을 고려해 보세요.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! 😊
해시태그
전월세보증금대출, 전세자금대출, 월세보증금대출, 주택도시기금, 청년전세대출, 버팀목전세대출, 시중은행대출, 무주택자대출, 대출상품비교
'부동산 대출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비행기표 싸게 사는 5가지 방법 (1) | 2024.08.19 |
---|---|
대출 이자 지금보다 더 줄이고 싶다면? | 대출이자 줄이는 방법 (0) | 2024.08.19 |
대출 관리 시작하기, 내가 받은 대출 파악하는 법 (0) | 2024.08.19 |
소득제한 없는 연 4%대 특례보금자리론 (0) | 2024.08.19 |
대출 받을 때 알아야 할 3가지: 2024년 LTV, DTI, DSR (0) | 2024.08.19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