소득제한 없는 연 4%대 특례보금자리론
안녕하세요! 끝까지 보시면 중요한 정보를 모아놨어요👇확인해 주세요!! 😊
소득제한 없는 연 4%대 특례보금자리론
특례보금자리론이란?
정부가 1월 말에 내놓은 '특례보금자리론'은 만기 최장 50년 고정금리에 소득과 상관없이 대출받을 수 있는 정책 대출 상품이에요. 이 상품은 DSR에도 포함되지 않아 많은 주목을 받고 있어요.
- 만기 최장 50년 고정금리
- 소득과 상관없이 대출 가능
- DSR에 포함되지 않음
기존 보금자리론과의 차이점
원래 보금자리론은 부부합산 소득이 연 7천만 원 이하인 경우에만 받을 수 있는 주택담보대출이에요. 하지만 특례보금자리론은 소득을 전혀 따지지 않아요. 연 소득이 1억 원이어도, 7천만 원이어도 받을 수 있다는 거예요.
- 기존 보금자리론: 소득제한 있음
- 특례보금자리론: 소득제한 없음
DSR에 포함되지 않는 특례보금자리론
은행에서 대출받을 경우 DSR에 포함되지만, 특례보금자리론으로 빌리는 대출은 용도에 상관없이 DSR에 잡히지 않아요. LTV와 DTI는 각각 70%, 60% 적용돼요.
- DSR 포함 여부: 특례보금자리론은 포함되지 않음
- LTV: 70%
- DTI: 60%
대출 한도와 조건
서울에 있는 7억 원 아파트를 사면 LTV 70%를 적용해 4억 9,000만 원까지 대출이 가능해요. DTI 60%까지 적용한다면 연봉 5,300만 원 이상인 사람이 30년 만기로 설정하면 4억 9,000만 원 대출을 받을 수 있어요.
- 대출 한도: 최대 5억 원
- 주택 가격 조건: 시세 9억 원 이하
대출 가능 상황
다음 3가지 상황에서 특례보금자리론을 받을 수 있어요:
- 무주택자가 집을 사려고 할 때
- 1주택자가 이사를 갈 목적으로 집을 살 경우
- 기존에 살던 집을 2년 내에 팔아야 해요.
- 1주택자가 기존에 받았던 주담대를 갈아타려고 할 때
- 변동금리로 대출을 받았던 사람들이라면 고정금리로 갈아탈 수 있어요.
특례보금자리론 금리
특례보금자리론 금리는 만기에 따라 달라져요. 금리가 가장 낮은 10년 만기의 경우 연 4.25%, 가장 높은 50년 만기의 경우 4.55%가 적용돼요. 30년 만기로 대출을 받으면 연 4.25% 이자율이 적용돼요.
- 10년 만기: 연 4.25%
- 50년 만기: 연 4.55%
- 30년 만기: 연 4.25%
우대금리 적용
신혼부부이거나 저소득층, 집값이 6억원 이하라면 우대금리를 적용받을 수도 있어요. 모든 우대금리를 적용받아 가장 낮게 대출받을 수 있는 금리는 10년 만기 연 3.75%예요.
- 우대금리 조건: 신혼부부, 저소득층, 집값 6억원 이하
- 최저 금리: 10년 만기 연 3.75%
신청 방법
특례보금자리론은 1월 30일부터 신청받아요. 신청은 한국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나 스마트주택금융 앱으로 하면 돼요. 대출을 신청하고 돈이 나올 때까지 한 달 정도 시간이 필요해요.
- 신청 시작일: 1월 30일
- 신청 방법: 한국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 또는 스마트주택금융 앱
자주 묻는 질문 (FAQ)
Q1: 특례보금자리론의 대출 한도는 얼마인가요?
A1: 대출 한도는 최대 5억 원까지 가능해요.
Q2: 특례보금자리론의 금리는 어떻게 되나요?
A2: 만기에 따라 금리가 달라지며, 10년 만기 연 4.25%, 50년 만기 연 4.55%가 적용돼요.
Q3: 특례보금자리론을 신청하려면 어떤 조건이 필요한가요?
A3: 담보 대출받으려는 주택 가격이 시세 9억 원 이하이어야 하며, 대출 한도는 5억 원까지예요.
마무리
특례보금자리론은 소득제한 없이 고정금리로 대출을 받을 수 있는 좋은 기회예요. 특히 DSR에 포함되지 않아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질 만한 상품이에요. 신청 방법과 조건을 잘 확인하시고, 필요한 경우 한국주택금융공사 콜센터로 문의해 보세요. 😊
해시태그
특례보금자리론, 주택담보대출, 고정금리, 소득제한없음, DSR포함안됨, 대출한도, 우대금리, 신청방법, 한국주택금융공사
'부동산 대출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월세 보증금 대출, 어떤 걸 받아야 하나요? (0) | 2024.08.19 |
---|---|
대출 관리 시작하기, 내가 받은 대출 파악하는 법 (0) | 2024.08.19 |
대출 받을 때 알아야 할 3가지: 2024년 LTV, DTI, DSR (0) | 2024.08.19 |
항공권 살 때 마일리지 알차게 쓰는 5가지 방법 (0) | 2024.08.19 |
첫 차 구매 앞둔 분들을 위한 친절한 가이드 (0) | 2024.08.19 |
댓글